본문 바로가기
잡동사니

또 줄어든 G마켓-컬처랜드 혜택(8월부터 스마일 캐시 전환 시 무조건 수수료 발생)

by 모리마리 2021. 8. 6.
728x90
반응형

전에 리뷰했던 칼리아 거치대(CF-350)를 선물용으로 구입하려고 G마켓에 들어갔는데,

 

칼리아 CF-350 아이패드(태블릿) 거치대 리뷰+싸게 사는 법

아이패드를 산 후에 거치대를 사야지 사야지 생각만 하다가 미루기를 어언 n년. 이건 생각보다 비싸고, 저건 후기가 안 좋고 등등 어쩌다가 칼리아 아이패드 거치대를 추천하는 글을 봤고, 그 후

reviewermorimari.tistory.com

??????????

2% 수수료?

심지어 10원 단위는 전환도 안돼?

 

한때 해피머니 문화상품권 10만 원권을 91000원에 사서 네이버 페이 포인트로 전환해서 쓸 수 있었던 시절이 있었는데,

어느 순간 아예 문화 상품권으로 충전하는 게 막히더니(웹툰, 음원, 영화 결제는 가능), 나중에는 네이버 페이 포인트로 전환은 가능한데 대신 6% 수수료를 내는 걸로 바뀌었다. 문화상품권 할인 폭도 많이 줄어들어서 제일 저렴하게 나와야 8% 할인이고 3~5% 할인일 때가 많아서 네이버 페이로 살 때는 상품권을 안 쓰게 됐다.

그나마 G마켓, G9, 옥션에서는 컬처랜드 문화상품권을 월 최대 20만 원까지 수수료 없이 전환해서 쓸 수 있었는데 이것도 점점 한도가 10만 원(2020년 11월부터)으로 줄어들고 나중에는 5만 원으로 줄어들었다(2020년 12월부터). 대신 월 100만 원까지 컬처랜드 홈페이지에서 3% 수수료를 내고 스마일 캐시로 바꾸는 건 가능한 상태였다. 물론 한 달 동안 5만 원만 쓴다면 문화 상품권 할인율에서 조금도 손해 볼 일이 없었다. 물론 생필품 사다 보면 항상 5만 원을 넘겨서 컬처랜드 홈페이지에서 3% 수수료 내고 전환할 수밖에 없었지만.

그런데 8월부터는 그 5만원 마저 2% 수수료를 내야 전환할 수 있다.

한도라도 한 10만원정도로 늘려주든가. 

이렇게 되면 5만원 상품권을 사서 썼을 때 최대 4천 원 할인받을 수 있었던 게 3천 원 할인으로 바뀐 셈이다. 

 

찾아보니 7월 1일 공지사항으로 컬처 캐시를 스마일 캐시로 전환하면 고객 부담 수수료가 발생한다고 올리긴 했는데, 다들 어플로 핫딜만 보거나 가격비교 사이트에서 가격만 보고 접속할 텐데 누가 8월 전에 공지를 보고 그렇구나 했을지...

최소한 문화상품권 판매 페이지의 상세정보 더보기에라도 표시를 했어야 하는 거 아닌지 모르겠다.

그래서 실제로 G마켓 내에서 평소 하던대로 전환하면 이렇게 뜬다.

필요한 금액을 입력하고 전환하기를 누르면 필요한 금액+수수료가 컬처 캐시에서 빠지는 방식이다.

 

긍정적으로 생각하면 그동안 할인 받은 게 어디인가 싶으면서도 

혜택을 줬다 뺐는 느낌이고 두 기업이 목표치만큼 회원 유치 성공했나 보다 그런 생각이 드는 건 어쩔 수가 없다.

 

728x90
반응형

댓글